마술피리 부는 자몽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마술피리 부는 자몽

메뉴 리스트

  • 홈
  • 분류 전체보기 (148)
    • Linux (42)
    • Information Security (10)
    • Python (12)
    • Docker (1)
    • SAP (3)
    • Network (2)
    • Windows 10 (35)
    • Mac OS (0)
    • Useful PC Tips (0)
    • Useful Tools (29)
    • Life Tips (0)
    • Shopping List (0)
    • News Clips (14)

검색 레이어

마술피리 부는 자몽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코로나 확진환자 개인정보 보호 강화

    2020.10.15 by mp.jamong

  • [CentOS 8] 작업 예약 스케줄러 (cron, at)

    2020.10.15 by mp.jamong

  • MS 오피스 2010 지원 종료

    2020.10.14 by mp.jamong

  • [CentOS 8] 파일 검색 (find, which, whereis)

    2020.10.13 by mp.jamong

  • [CentOS 8] 파일 압축과 해제

    2020.10.12 by mp.jamong

  • [CentOS 8] 심볼릭 링크와 하드 링크

    2020.10.08 by mp.jamong

  • [CentOS 8] 파일의 허가권과 소유권

    2020.10.06 by mp.jamong

  • [CentOS 8] 리눅스 사용자와 그룹 관리

    2020.10.05 by mp.jamong

코로나 확진환자 개인정보 보호 강화

「 KISA, 코로나19 확진환자 개인정보 보호 한층 강화 」 2020년 10월 14일 한국인터넷진흥원(이하 KISA)는 '코로나19 확진환자 정보공개 관련 개인정보 보호 강화 안내문'을 제작하여 지자체에 배포하였습니다. 각 지자체에서는 코로나19 감염병 확산 방지 및 예방을 목적으로 역학조사 결과에 대해 확진환자의 개인정보 및 이동경로를 공개하면서 확장환자의 사생활 노출에 따른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는데요. 이에 KISA는 환자 개인정보 보호의 목적으로 개선 안내문을 제작하여 배포하였습니다. 지자체가 확진환자의 정보를 게시할 때 유의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 성별, 연령, 국적, 거주지 등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는 공개하지 않아야 한다. · 거주지의 경우 읍, 면, 동 단위 ..

News Clips 2020. 10. 15. 13:58

[CentOS 8] 작업 예약 스케줄러 (cron, at)

리눅스 시스템 작업 진행시 배치잡 또는 예약된 작업을 스케줄로 관리가 필요한 상황(백업, 정기적인 작업)이 있습니다. 이때 cron과 at을 이용하여 예약된 작업을 등록하고 실행을 하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cron과 at 사용법에 대해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이 둘의 차이점을 명확히 아시고, 사용하시면 효율적인 작업 스케줄 작업 운영이 가능할 것입니다. Contents | 작업 예약 스케줄러 Ⅰ. cron 사용법 Ⅱ. at 사용법 1. cron 사용법 ▷ cron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일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 작업을 예약해 놓은 것을 의미 → cron 데몬(서비스) : crond → cron 설정 파일 : /etc/crontab → cron 관련 디렉터리 : /etc/cron.ho..

Linux 2020. 10. 15. 12:14

MS 오피스 2010 지원 종료

「 2020년 10월 13일, 오피스 2010 지원 종료 신규 취약점 대비해 최신 오피스 사용 권고 」 MS 오피스 2010의 다양한 기술 지원이 오늘(2020년 10월 13일)부로 종료 됩니다. 기술 지원에는 보안 문제에 대한 기술 지원, 버그 픽스 또는 보안 픽스가 해당 되며 더 이상 제공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해당 기술 지원을 받지 않는다면 PC에 유해한 바이러스, 스파이웨어 및 기타 악의적인 소프트웨어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심각하면 PC의 비정상 동작 발생뿐만 아니라 PC에 있는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MS에서는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과 다양한 사이버 위협에 보호가 가능한 상위 버전인 MS 오피스 365 가입을 하여 사용 안내를 하고 있습니다. 가격은 사용자마다 느끼는 가격이..

News Clips 2020. 10. 14. 16:53

[CentOS 8] 파일 검색 (find, which, whereis)

윈도우즈 파일 검색은 검색창에서 검색어를 입력하여 원하는 파일 또는 폴더(디렉터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리눅스도 GUI 환경에서 검색창에서 검색이 가능하지만, 대부분 CLI 환경에서 시스템 관리가 진행되다보니, 파일 검색 방법에 대해 익숙해야 원하는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리눅스에서 자주 사용하는 파일 검색 명령어인 find, which, whereis 사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사용법에 대해 이해하고 사용한다면, 일반 검색보다도 더 강력한 검색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Contents | 파일 검색 Ⅰ. find 명령어 사용법 Ⅱ. which 명령어 사용법 Ⅲ. whereis 명령어 사용법 1. find 명령어 사용법 ▷ 주어진 조건을 검색하여 파일을 찾음 ▷ f..

Linux 2020. 10. 13. 09:21

[CentOS 8] 파일 압축과 해제

윈도우즈에 비해 리눅스는 시스템 관리가 주로 CLI 기반으로 진행되다보니 많은 명령어에 익숙해져야 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 중 파일 압축과 해제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파일 압축하는 프로그램의 종류와 사용법에 대해 정리하니, 자신에게 맞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파일 압축과 해제에 대해 조금더 익숙해졌으면 합니다. Contents | 파일 압축과 해제 Ⅰ. 리눅스 파일 압축 프로그램 Ⅱ. 파일 압축과 해제 Ⅲ. tar 사용법 1. 리눅스 파일 압축 프로그램 ▷ 리눅스에는 다양한 파일 압축 프로그램이 있고, 아래 표는 자주 사용하는 압축 프로그램 리스트 입니다. 2. 파일 압축과 해제 ▷ 파일 압축 | xz # 압축 파일 대상 확인 [root@localhost test3]# ls -a..

Linux 2020. 10. 12. 12:55

[CentOS 8] 심볼릭 링크와 하드 링크

안녕하세요. 마술피리 자몽 입니다. 윈도우의 '즐겨찾기' 개념이 리눅스에서는 링크라고 불리며, 링크는 심볼릭 링크와 하드 링크가 있습니다. 의미와 사용 방법이 비슷해보이지만, 심볼릭 링크와 하드 링크 개념을 명확히 알고 있어야 관리 입장에서 불필요한 장애 요소를 배제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심볼릭 링크와 하드 링크의 개념과 사용 방법에 대해 소개드리니, 중요한 내용이니 꼭 기억하기 바랍니다. Contents | 심볼릭 링크와 하드 링크 Ⅰ. 심볼릭 링크 Ⅱ. 하드 링크 1. 심볼릭 링크 ▷ 윈도우즈에서 "바로가기 기능"과 유사한 기능 ▷ 원본 파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원본 파일 위치에 대한 포인터만 포함되므로 새로운 inode 를 가진 링크 파일 생성 ▷ 심볼릭 링크 생성 방법..

Linux 2020. 10. 8. 10:39

[CentOS 8] 파일의 허가권과 소유권

리눅스에서 꼭 알아야 하는 파일의 허가권과 소유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에는 파일과 디렉터리에 허가권과 소유권이라는 속성이 있습니다. 허가권은 파일과 디렉터리에 대해 읽고, 쓰고, 실행할 수 있는 권한 유무를 의미하며, 사용자나 그룹에 지정할 수 있습니다. 관련 명령어는 chmod 로 해당 명령어를 이용하여 권한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소유권은 파일과 디렉터리를 소유한 사용자나 그룹에 대해 소유권이 있다고 말합니다. 관련 명령어는 chown 으로 해당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 또는 디렉터리의 소유권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Contents | 리눅스 허가권과 소유권 Ⅰ. 파일 속성 Ⅱ. 허가권 (Permission) Ⅲ. 소유권 (Ownership) 1. 파일 속성 ▷ 파일의 속성 정보를 확인하기 ..

Linux 2020. 10. 6. 12:37

[CentOS 8] 리눅스 사용자와 그룹 관리

안녕하세요. 마술피리 자몽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 사용자와 그룹 관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는 시스템에 여러명이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다중 시스템을 지원하기 때문에 리눅스 사용자를 관리하는 방법과 그룹을 관리하는 방법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리눅스에서 사용자 관리, 그룹 관리에 필요한 파일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관리하는 시스템 명령어에 대해 아래와 같이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 리눅스 사용자와 그룹 관리 Ⅰ. /etc/passwd, /etc/shadow, /etc/group Ⅱ. 사용자 관리 명령어 사용 방법 Ⅲ. 그룹 관리 명령어 사용 방법 1. /etc/passwd, /etc/shadow, /etc/group ▷ /etc/passwd → 사용자 I..

Linux 2020. 10. 5. 11:5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마술피리 부는 자몽 © mp.jamong 2020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